Home >> 고전미술관 >> 국내 고전미술 >> 안견

 

고전미술관

고전미술관

국내 고전미술

서양 고전미술

중국 고전미술

일본 고전미술

 

고전미술관련사이트

고전미술 갤러리

국보보물 갤러리

 

회원 자유게시판

회원 미술자료실

미술 이론자료실

 




<朝鮮王朝 前半期의 山水畵>

  1. 머리말
  2. 조선초기에 수용된 화풍
  3. 조선초기의 산수화
  4. 조선중기의 산수화
安 輝 濬
서울大學校 敎授
이글은 『山水畵(上)』, 韓國의 美 11 (中央日報社: 1980)에 실린 필자의 논문 "朝鮮初期 및 中 期의 山水畵"를 수정, 보완한 것으로 본 도록에 수록된 작품이외의 작품도판은 앞의 책을 참조하 기 바람(편집자 주)

1. 머리말

우리나라 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활발하게 제작되었던 때는 조선왕조 시대이다. 이 시대의 회화 는 초기(1392∼약 1550), 중기(약 1550∼약 1700), 후기(약 1700∼약 1850), 말기(약 18520∼1910) 의 4기로 화풍의 변화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초기와 중기를 묶어서 전반기로, 후기와 말기 를 합쳐서 후반기로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1392년 건국시부터 약 1550년 경까지의 기간에 해당되는 초기는 그 근간을 이룬다고 하겠다.

조선 초기에는 이미 도화원(圖 院)-후에 도화서(圖 署)로 개칭됨-이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화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화원( 員)들뿐만 아니라 왕공 사대부(王公 士大夫)들 중에서도 그림 을 좋아하고 즐겨 그리는 사람들이 다수 나타나 초기의 화단에 더 한층 활기를 불어넣었던 것이 다. 그러나 고려시대(918∼1392)에 일반회화 분야에서도 한몫을 단단히 했던 승려화가들의 활동은 이 시대에 이르러 억불숭유정책(抑佛崇儒政策) 때문인지 크게 위축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회 화를 발전시켰던 것은 화원들과 왕공 사대부화가들의 두 계층이었다고 하겠다. 조선 초기에는 실용적인 목적을 지닌 그림뿐만 아니라 순수한 감상을 위한 회화가 크게 진작되 었고 그림의 소재도 다양해졌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의 작품과 기록들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렇듯 순수한 감상을 위한 회화가 크게 성행한 것은 당시의 왕공 사대부들의 생활과 사상을 반영해 주 는 것이라 하겠다.

이 시대에는 대나무, 산수, 인물, 영모, 화조 등 다방면의 그림들이 그려졌지만 그중에서도 산수 화는 가장 널리 제작되었던 것이다. 산수화는 궁중의 각종 행사나 사대부들의 계회(契會)를 묘사 하는 실용적 목적의 그림들에서 자주 그려졌을 뿐만 아니라 순수한 감상을 위한 목적으로 빈번하 게 제작되었다. 즉 산수화는 자연을 사랑하는 당시 사대부들의 호연지기(浩然之氣)와 밀착되어 크 게 성행되었던 것이다.

지금 남아 있는 조선 초기의 작품들의 대부분이 산수화인 점도 이 시대의 이러한 경향을 말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산수화는 회화양식의 특색과 그 변천을 가장 구체적으로 말해주기 때문에 이 시대의 산수화를 통해서 우리는 당시의 화단의 동향을 어느 정도 신빙성 있게 추구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왕조 초기와 중기의 산수화를 지극히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토우조형아트

위로

 

ⓐⓡⓣTOWOOART-미술전문사이트

회사소개 | 사업제휴 | Contact Us |광고문의 |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개인정보보호정책               오늘의 날짜는 125년 4월 1일 입니다.

 

Copyright ⓒ 1999-2007 Towooart Co.,Ltd. All rights reserved. E-Mail TEL: 02-363-7970  010-7286-8841. FAX: 02-3148-5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