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릭터디자인을 만드세요!!
1.토우조형아트에서는 캐릭터제작에 대하여
업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캐릭터를
제작해드립니다.
3.저렴하고
개성적인 이미지로 해결해드립니다.
|

char·ac·ter          - n.
|
캐릭터
정의
기업,
단체, 행사 등 특정 성격에 맞는
시각적 상징물을 캐릭터라 하며,
그 대상과 표현의 영역은 광범위하고
심볼마크와 구별되어 진다. 캐릭터는
형태적으로나 디자인적으로 카툰,
애니메이션, 캐리커처와 뚜렷이
구별되기는 힘드나 그 목적이
상품화가 분명해야만 한다.
캐릭터의
개념
캐릭터는
흥미로운 이미지와 일관성있는
이미지를 전달하여 88올림픽의
호돌이, 대전 엑스포의 꿈돌이처럼
국가적 공공 행사에서 작게는
광고, 애니메이션, 팬시 등 상업적
캐릭터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범위가
굉장히 넓다.
또한,
캐릭터 상품은 실존 또는 비실존
인물, 의인화하거나 창조, 비창조
된 것들을 함께 캐릭터의 범주에
넣을 수 있고, 캐릭터가 하나의
상품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디자인부터 그 스토리의 내용과
전개,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상품화되기
위한 전략이 철저하게 근간이
되어야 한다.
캐릭터의
인식
캐릭터는
21세기 무공해산업 지자체
캐릭터 개발 사업은 지역 홍보도
하고, 돈도 버는 일버는 일석이조
프로젝트입니다.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양준경(44) 지역발전팀장은 "캐릭터
산업은 21세기형 무공해 고부가가치산업"
이라며 "우리나라는
많은 전설과 이야기 주인공이
많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고 말했다.
양씨는
지난 97년 팀이 결성된 이후,
지방 디자인 산업 진흥 업무를
진두지휘하고 있다. 장성군 홍길동을
시작으로 남원, 수원, 청도, 영월
등 14개 지자체 캐릭터를 개발했다.
국내
캐릭터 산업 규모는 일년 5000억원
정도. 전문가들은 이중 외국 캐릭터가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캐릭터로는
'아기공룡 둘리'와 '삐악이' 정도가
어린이들 사이에 널리 알려져
있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책
주인공을 상품화하는 외국의 캐릭터
산업과는 달리, 국내 지자체는
홍보용 캐릭터를 먼저 개발하는
것도 가장 큰 차이점. 재정 상태가
취약한 지자체가 수십억원이 들면서도
성공가능성을 점칠 수 없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양씨의 설명이다. 양씨는
"캐릭터를
통해 외부에 지역을 널리 알리고
있다는 것만 해도 절반은 성공"
이라며 "각
지자체들이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캐릭터 산업에 뛰어들 계획을
갖고 있다"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