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고전미술관 >> 국내 고전미술 >> 김홍도의 세계

 

   고전미술관

고전미술관

국내 고전미술

서양 고전미술

중국 고전미술

일본 고전미술

 

고전미술관련사이트

고전미술 갤러리

국보보물 갤러리

 

회원 자유게시판

회원 미술자료실

미술 이론자료실

 




< 檀園 金 弘道의 미술 세계 > update!!

단원 김홍도(1745~1806)는 그 고유색 짙은 조선 독자 문화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탄생하여 문화의 최후를 장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던 화가이다.

  그의 5대조는 守門將을 지냈고 고조부는 종6품의 벼슬 ,증조부가 종4품의 萬戶를 지낸 중인 가문의 출신이다.타고난 그림 재주로 말미암아 圖畵署 畵員이 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7~8세 되던 해에 그의 천재성이 인정되어 사대부 화가 강세황(姜世晃)에게   인정받아 그의 훈도 아래 詩文書畵를 익혔기 때문에 성리학적 소양을 어느 정도 몸에 지닐 수 있었다.이를 바탕으로 조선성리학을 사상 기반으로 하고 있던 진경시대 문화를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듯 하다.   단원은 그림 재주를 하늘로부터 타고난 것이었기에 모든 화과(畵科)의 그림에 능하지 않는 것이 없었다.

  산수,인물,화조,사군자,누각 등을 다 잘하는데 특히 당시 생활상을 그려내는 풍속인물화에 뛰어난 솜씨를 보이었고 신선과 고승을 그리는 도석(道釋)화는 누구도 따라 올 수 없는 경지였다 한다.   그의 그림들을 자세히 보면 어느 화과의 그림이거나 간에 모든 그림에 조선 고유의 색을 짙게 드러난다는 공통성이 있다.  

 산수화는 왕명을 받들어 금강산과 동해안 명승지를 그렸다는 해산첩<海山帖>에서 볼 수 있듯이 겸재의 사생기법으로부터 연유한 서릿발 준법으로 바위산을 표현하되,현재나 표암 강세황이 명대 남종화 기법을 수용해 들이면서 그 영향으로 변형시킨 부드러운 붓만을 가미하여 굳세고 씩씩하던 겸재의 붓질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   이런 온건한 필법은 아마 말기 문화가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세련미라고 보아야 할지도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진경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단원이 지목되었을 수도 있다.

성품ㆍ일화   가계중요화력   풍속화 작품 작품의 가치    작품경향

작품보기


[金剛四郡帖].청심대(靑心臺)

[金剛四郡帖]中 4.총석정(叢石亭)

기려원유도[騎驢遠游圖]

씨름(Wrestling)

서당(Scene from a VillageSchool)

빨래터(A Wash Place)

고사인물도무이귀도(武夷歸悼)

오류귀장[五柳歸庄]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삼선도(三仙圖)

송하취생도[松下吹笙圖]

사녀도(仕女圖)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묵죽도(墨竹圖)

황묘농접도(黃猫弄蝶圖)

왕탁간독(王鐸簡牘)

담락재(湛樂齋)

송하담소도(松下談笑圖)

죽하맹호도 (竹下猛虎圖)

옥순봉도 (玉筍峯圖) new

조어산수 (釣魚山水) new

 

 

부상도 (負商圖) new

 

 

그림을 클릭하시면 설명과 함께 큰 그림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고전미술로

토우조형아트

위로


ⓐⓡⓣTOWOOART-미술전문사이트

회사소개 | 사업제휴 | Contact Us |광고문의 |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개인정보보호정책               오늘의 날짜는 125년 3월 29일 입니다.

 

Copyright ⓒ 1999-2007 Towooart Co.,Ltd. All rights reserved. E-Mail TEL: 02-363-7970  010-7286-8841. FAX: 02-3148-5151